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독서록

2020-04-27 00:13:35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1973)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문학동네
2009
송병선 역


'오늘을 읽는 책'에서 정선태 교수님이 한 책.

페루의 한 행정장교인 판팔레온 판토하 대위에게 특별 임무를 부여받고 도시 이키로스로 팍견된다.
아마존 강 유역의 병사들이 주둔지 주변의 여자들을 추행한다는 민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 방법은 매춘부들을 조직화하 각 군부대 주둔지로 손회하며 '봉사'하는 것이다.
판탈레온은 임무를 부여받고 처음에는 갈등하지만 자신의 강점을 십분 발휘하여 이 '특별봉사대'를 성공적으로 운영한다.

소설은 판탈레온 또는 그의 상관, 부하 등이 작성한 보고서,  또 몇몇 등장인물들의 편지, 지역 라디오 방송, 신문을
첨부한다.
또한 병행되는 사건이 있다. 그것은 당시 민간에 유행하고 있는 '프란치스코 형제회' 신앙이다. 살아있는 생물, 때론 인간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이는 의식으로 사람들의 뭇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샌흥종교로 인한 이러저러한 사건들이 게속해서 다루어진다.
왜 이 이야기가 같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어떤 효과를 주는 건지 잘 모르겠다. 넌센스에 빠져드는 인간 심리를 희화화하고 있는건지...
글 후반부에 이 '특별봉사대'가 사회에  공식적으로 드러나게 되는 계기가 있다. 판탈레온의 애인이 되기도 하는 '미스 브라질'의 사망.  지역 민간인들이 자기들도 이 '특별봉사대'를 이용할 권리를 달라며 항의 하다가 급기야는 납치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데 여기서 벌어진 총격전으로 봉사대원이 사망하게 된것임. 그녀를 군장으로 공개적으로 치룬 것에 대해 군은 판탈레온을 전역시키고자 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화를 내야할지, 웃어야할지를 갈피를 잡지 못했다.
우리나라 군부대에도 한국전쟁 당시 이런류의 조직이 있었다고 하니.
작가는 군이 갖는 모순성에 대해 희화화하고 있는 것 같다.
조직을 만들게 되는 초반에 강력히 반대하고 나서는 상관들이 있는데 이들을 소설 끝부분에서 가각의 매춘 장면이 나온다.
아이러니, 모순... 이런 단어들은 떠오르는데 이 책을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정선태 교수님의 소개를 다시 들어봐야할것같다.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과 평화  (0) 2024.02.05
희생양  (1) 2024.02.05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  (2) 2024.02.05
彼得前书 2:16~20  (0) 2023.11.10
마녀  (2) 2023.10.17

+ Recent posts